Surprise Me!

[더뉴스-더인터뷰] "댐 수위조절 실패로 물난리"...'4대강 효과' 전문가들 의견은? / YTN

2020-08-12 3 Dailymotion

■ 진행 : 강진원 앵커, 박상연 앵커 <br />■ 출연 : 박창근 / 가톨릭 관동대 토목공학과 교수, 신현석 / 부산대 토목공학과 교수 <br /> <br />*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 <br /> <br /> <br />금강 홍수통제소에서 발표한 용담댐의 날짜별 저수위와 방류량 그래프입니다. <br /> <br />지난달 30일, 용담댐은 홍수기 제한수위인 해발 261.5미터를 넘어섰습니다. <br /> <br />당시 방류량은 초당 300톤 안팎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어찌 된 일인지, 방류량을 45톤으로 낮춥니다. <br /> <br />그러다가 저수위가 계획 홍수위인 해발 265m로 치솟은 8일 하루 동안 방류량이 4배나 늘어납니다. <br /> <br />초당 방류량이 한 때 3천 톤 가까이 올라갔고, 일평균으론, 초당 2천 톤이 넘는 물을 흘려보냈습니다. <br /> <br />같은 날 무주, 금산, 옥천, 영동 등 용담댐 하류 지역 4개 군에서 주택 220여 채와 농경지 670여 ha가 물에 잠겼습니다. <br /> <br />주민들은 집중 호우가 내리던 날 댐이 갑자기 방류를 해서 피해를 키웠다고 성토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김병우 / 충남 금산군 제원면 : 천천히 (물을) 내보내면 되는데 갑자기 많이 방류를 해서….] <br /> <br />용담댐 뿐만의 얘기는 아닙니다. <br /> <br />섬진강댐도 집중호우 전에 제한수위에 도달했지만 미리 충분한 방류가 이뤄지지 않아 수해를 키웠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4대강 사업의 홍수조절 효과에 대한 갑론을박도 벌어지고 있죠. <br /> <br />과연 문제와 해법은 무엇인지, 전문가와 함께 정확히 짚어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스튜디오에 대한하천학회장인 박창근 가톨릭 관동대 토목공학과 교수 나오셨고요. 출연 중에 신현석 부산대 토목공학과 교수 연결해 다른 의견도 들어보겠습니다. 교수님 어서 오십시오. <br /> <br />[박창근] <br />반갑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교수님, 앞서서 용담댐 얘기를 전해 드렸는데 주민들 사이에서는 사실상 인재다, 이런 성토가 나오고 있습니다. 교수님께서는 어떻게 보십니까? <br /> <br />[박창근] <br />일단은 수자원공사가 용담댐 운영을 관련 규정에 따라서 운영했느냐 안 했느냐가 핵심 포인트 아니겠습니까? 그중에서 방류량인데 제가 오늘 자료를 찾아보니까 용담댐에서는 설계 방류량이 초당 3200톤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최대 방류량이 90% 되는 2900톤이었거든요. 이렇게 됐는데 문제는 만약에 하류지역에서도 비가 오면 지천에서 물이 들어올 거 아닙니까? <br /> <br />그러다가 용담댐에서도 물이 많이 들어오다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00812145335850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